판결주문취소

사건번호:

2017두33145, 33152(중간확인의소)

선고일자:

201705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행정소송에 관하여 고등법원이 아닌 제1심 법원이 선고한 종국판결에 대하여는 종국판결 뒤에 양쪽 당사자가 상고할 권리를 유보하고 항소를 하지 않기로 합의한 때에 한하여 비약적 상고를 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및 이때 위 합의는 반드시 서면으로 하여야 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 민사소송법 제29조 제2항, 제390조, 제422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2003. 2. 11. 선고 2002두9582 판결, 대법원 2013. 12. 12. 선고 2013다67921 판결

판례내용

【원고(중간확인원고, 선정당사자), 비약적 상고인】 【피고(중간확인피고), 비약적 피상고인】 대한민국 【원심판결】 부산지법 2016. 12. 22. 선고 2016구합22835, 24091 판결 【주 문】 비약적 상고를 각하한다. 비약적 상고비용은 원고(중간확인원고, 선정당사자)와 선정자들이 부담한다. 【이 유】 직권으로 비약적 상고의 적법 여부를 판단한다.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에 의하여 준용되는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2항, 제390조 제1항 단서에 의하면, 행정소송에 관하여 고등법원이 아닌 제1심 법원이 선고한 종국판결에 대하여는 종국판결 뒤에 양쪽 당사자가 상고할 권리를 유보하고 항소를 하지 아니하기로 합의한 때에 한하여 비약적 상고를 할 수 있다(대법원 2003. 2. 11. 선고 2002두9582 판결 참조). 그리고 이 경우 위 합의에는 민사소송법 제390조 제2항에 의하여 같은 법 제29조 제2항의 규정이 준용되는 결과 그 합의는 반드시 서면으로 하도록 되어 있다(대법원 2013. 12. 12. 선고 2013다67921 판결 참조). 그런데 이 사건에서 원고(선정당사자)는 제1심 판결에 대하여 비약적 상고를 하면서 민사소송법 제390조 제1항 단서의 합의에 관한 서면을 제출한 바 없으므로 이 사건 비약적 상고는 부적법한 것으로서 그 흠결을 보정할 수 없는 경우라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비약적 상고이유의 판단에 나아갈 필요도 없이 원고(선정당사자)의 비약적 상고를 각하하고, 비약적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별 지】 선정자 목록: 생략 ] 대법관 김신(재판장) 김용덕 김소영 이기택(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항소 없이 바로 대법원에 상고하려면? 꼭 알아야 할 사실!

1심 판결에 불복하여 항소를 거치지 않고 바로 대법원에 상고하려면 (비약상고), 상대방과 '항소하지 않고 상고한다'는 합의를 하고 그 합의서를 반드시 제출해야 합니다. 합의서가 없으면 상고는 효력이 없습니다.

#비약상고#합의서#상고각하

형사판례

비약적 상고, 뭘까요?

비약적 상고는 1심 판결에서 인정한 사실관계는 그대로 두고, 법률 적용만 잘못되었을 때 할 수 있는 상고입니다. 단순히 형량이 무겁다는 이유로는 비약적 상고를 할 수 없습니다.

#비약적 상고#법률 적용 오류#사실관계 인정#형량 불복

형사판례

피고인의 비약적 상고와 검사의 항소가 경합하는 경우, 비약적 상고의 효력은?

피고인이 비약적 상고(1심 판결에 법률 적용 오류가 있을 때 항소를 거치지 않고 대법원에 직접 상고하는 제도)를 했는데, 검사가 항소를 한 경우, 기존에는 피고인의 비약적 상고는 효력을 잃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판례를 통해 피고인의 비약적 상고에 항소와 같은 효력을 인정하여 피고인의 상소권을 더욱 보장하게 되었습니다.

#비약적 상고#검사 항소#항소 효력 인정#상소권 보장

형사판례

군사재판, 비약적 상고란 무엇일까요?

군사재판에서 '비약적 상고'는 군사법원이 인정한 사실관계는 그대로 두고 법률 적용만 잘못되었을 때 가능합니다. 사실관계 자체에 대한 다툼은 비약적 상고 대상이 아닙니다.

#군사재판#비약적 상고#사실인정#법률적용

민사판례

소액사건 상고, 아무 때나 할 수 없어요!

소액사건에서는 단순히 증거를 잘못 판단했거나 법을 잘못 적용했다는 이유만으로는 상고할 수 없고, 대법원 판례에서 법을 해석한 것과 반대로 해석한 경우만 상고할 수 있습니다.

#소액사건#상고#대법원 판례 위반#법 해석

민사판례

즉시항고, 제대로 알고 하세요! 이유 없으면 각하!

즉시항고를 할 때 이유를 제대로 적지 않으면 법원은 해당 즉시항고를 각하합니다.

#즉시항고#이유기재#각하#재항고